분류 전체보기(45)
-
늦은 2023년 회고의 글
1. 2023년도 무엇을 했는가 올해 총 4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신용평가사 2개, 항공사 1개, 서비스사 1개) 수행하면서 같이 합을 맞춘 우리 회사 구성원 모두에게 너무 감사함이 크다. 특히 올해부터 프로젝트를 하게 되면서 현장에서의 리딩역할을 계속 맡게 되었던 상황이 계속 진행되어서 개발 외적인 스트레스도 받고 가끔씩 하소연을 하는 상황도 있었지만 넓은 마음으로 받아주신 PM님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1) 신용평가사 2개 App 프로젝트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웹 개발에서는 경험해볼 수 없었던 안드로이드, iOS App 검수를 제대로 경험한 계기가 되었다. 출시 시기를 맞추기 위해 안드로이드 개발자 지원팀과 이야기 해보기도 하고 Apple 검수자와 스레드로 계속 소통하면서 부..
2024.01.26 -
Ghost Script 설치 관련의 건 (RuntimeError: Please make sure that Ghostscript is installed)
차기 프로젝트로 PDF 파싱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필요한 라이브러리로 camelot-py와 Ghost Script가 있었다. (차기 프로젝트 관련 내용은 WIL에 풀어보겠다) 현재 M2 맥을 사용하고 있고 Ghost Script가 homebrew를 통한 설치를 지원하고 있어서 편리하게 설치하겠지 했다. https://www.ghostscript.com/ Ghostscript Ghostscript is an interpreter for the PostScript® language and PDF files. It is available under either the GNU GPL Affero license or licensed for commercial use from Artifex Software..
2023.11.15 -
[Django].env (dotenv) 사용하는 분들께 (feat.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전에 공식문서를 꼭 보자)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특정 값을 저장해놓을 필요성이 있고 이런 것들을 보통 환경변수라고 지칭한다. AWS SaaS를 사용하며 필요한 키들도 있고 결제를 한다고 하면 통신용 키도 필요하고 카카오라던가 네이버 인증과 같은 요소, 정부 Open API 등 셀 수 없는 곳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 키값을 보관을 해야되기 때문이다. Django에서는 이러한 값에 대한 파일을 관리하는 라이브러리는 국문으로 작성된 블로그 리서치 상 3개가 대표적으로 나온다. 1. python-dotenv 2. django-dotenv 3. django-environ *본 글에서는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는 법이 아닌 여러 라이브러리 중에서 올바른 라이브러리를 선택하는 방법을 적어놓았다. 1. django-dotenv는 인제 떠나 보내..
2023.09.27 -
WIL_230924 (feat. MyBatis에서 PostgreSQL 쿼리 실행결과 확인하기)
올해도 참 빠른 것 같다. 벌써 4분기 그리고 3분의 1이 다 지나갔다. 1. 신규 프로젝트 시작 저번 대형 항공사 프로젝트 이후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정부기관의 서비스를 간소화해주는 프로젝트라 '삼쩜삼'과 비슷하다고 생각이 들었으며 목적이 간단 명료해서 개발자로서도 기획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기획 PM으로 계시는 분이 공공기관과 오래 업무를 하셨던 분이라 확실히 페이퍼워크를 잘하시는게 느껴졌다. 정뢰된 기획 문서만 읽고도 머릿속에 어떤 작업을 해야겠다는 계획이 든 프로젝트는 이게 거의 처음이라 할정도로 마이크로한 부분까지 정의가 잘되어 있었다. 아울러 개발도 직접 하셨던 경험이 있으셔서 그런지 기획과 개발에서 항상 괴리감으로 잡혀있는 '기술적 검토' ..
2023.09.24 -
WIL_230813
6월부터 8월까지의 여름의 흔적 지난 신용평가사 앱 프로젝트 6월 종료 이후 동료들은 엑싯하고 클라이언트 수정 요청사항을 대응하고 있었다. 지난 프로젝트에서 현장 PM의 역할을 수행하다보니 직접 개발 퍼센테이지는 높지 않았으나 역할로 인해 전체적인 프로젝트 맥락을 이해하고 있고 클라이언트 요구사항의 수준이 높지 않아 혼자서도 대응할 수 있음에 다행이라고 생각하였다. 이후 내부 결정으로 인해 다른 프로젝트로 이동이 필요했으며, 현재까지 참여했던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규모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해당 프로젝트는 자세하게 기술하기는 커머스 관련 프로젝트로 일반 쇼핑몰보다 요구사항이 굉장히 많은 편이었다. 환율이라는 큰 변수가 존재하였고 쿠폰 정책도 굉장히 다양했으며, 결제 수단도 국내외 수단을 포함해야..
2023.08.13 -
WIL_230527
WIL이라 쓰고 일기라고 읽는다... 1. 프로젝트 종료 D-Day 근 6개월간 진행했던 2개 동시 앱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는 시점이 왔다. 1) 레거시 프로덕트 사용을 통한 현재 기술과의 차이 체득 현장에서 PM 역할도 하느라 서버와 화면단을 내 마음과 같이 드나들지는 못했지만 JSP와 JQuery, MyBatis를 꽤 많이 다뤄보게 되었으며DWR이라는 것도 처음 다루어봤는데 2010년 전후로 흥했던 라이브러리인 것 같다. (자바스크립트로 자바객체를 호출한다니!) 개인적으로는 뭔가 재밌고 기존 프로덕트에서도 적극 사용하고 있어서 써볼 때는 신기했으나 퍼포먼스는 영 별로인 것 같았다. https://github.com/directwebremoting/dwr GitHub - directwebremotin..
2023.05.29